2기 장기발전계획(2012~2020)
← 2012 ~ 2014 → | ← 2015 ~ 2017 → | ← 2018~ 2020 | |
---|---|---|---|
새 연구네트워크 구축 | 연구심화 단계 | 성과창출 단계 | |
과학문화 연구센터 |
연구영역 확대 외부 연구네트워크 탐색 |
연구 네트워크 안정 및 새로운 연구과제 추진 & 안정적 연구자원 확보 |
현대 한국과학기술 문화 연구 플랫폼 기능 |
주요 연구활동 | 과학문화 연구영역확대를 위한 연구 주제 발굴 예: 한국현대과학기술사과학 (박물관) 및 과학기술 유물 연구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|
핵심역량 연구주제 선정 Primary: 한국현대과학기술문화 Secondary: 과학기술 전시 문화 과학기술과 예술 과학기술과 젠더 |
연구성과 창출 과학문화총서 학술 포럼 운영 관련 기관과 협력관계 구축 |
모색기 | 성장기 | 성숙기 |
3기 장기 발전계획(2021~2026)
|
← 2021 ~ 2022→ |
← 2023 ~ 2024 → |
← 2025 ~ 2026 |
과학문화 연구의 새로운 프론티어 탐색 |
시그니처 프로젝트 기획 |
성과창출 단계 |
|
과학문화 |
디지털 융복합 과학문화 영역 탐색 & 외부 연구 네트워크 발굴 |
독창적이고 학술-실용 융합적인 연구사업 기획 & 수주 & 안정적 연구기반 확보 |
디지털 융복합 과학문화 핵심 연구기관 위상 확보 |
주요 연구활동 |
- 신규 영역의 연구주제/연구사업 발굴&기획 활동 - 융합연구를 위한 인력 양성및 협업 네트워크 구축
영역예시 : 1. 데이터 과학기술과 문화 2. 디지털 매체 기반 과학기술문화 3. 지역혁신단지 |
- 연구프로젝트 기획/수주
Primary: 1. 디지털 매체&과학기술문화
Secondary: 1. 지역 과학기술 혁신단지 2. 빅데이터 과학문화 |
- 성과 환류를 위한 채널 다각화 1. 교내외 학술행사 정례화 2.. 웹 뉴스레터 발간 3. 산학연 포럼 운영 |
|
탐색기 |
발아기 |
성장기 |